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개발중인 혈관통합 생체장기모사 칩. 한쪽은 혈관 다른 쪽은 장기 채널이다. 사진제공:UN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개발중인 혈관통합 생체장기모사 칩. 한쪽은 혈관 다른 쪽은 장기 채널이다. 사진제공:UNIST.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생체장기모사 칩(organ-on-a-chip)’ 개발이 시작된다.

생체장기모사 칩(organ-on-a-chip)은 심장이나 폐, 간 등 사람 몸속 장기를 모방해 만든 작은 칩이다. 이 칩에는 장기를 이루는 세포와 주변 환경 등을 재현하므로 실제 장기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가진다. 여기에 새로운 약물을 투여하면서 관찰하면 안전성은 물론 약물 전달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정무영)는 울산시와 함께 제안한 ‘UNIST-WRIRM-UniBasel 생체장기모사 연구센터’가 ‘2018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Global R&D Center, GRDC)’에 선정됐다고 지난 7월 25일 발표했다.

이 연구센터는 UNIST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Wake Forest) 의과대학(WRIRM), 스위스 바젤대학 의과대학(UniBasel)이 공동으로 생체장기모사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 연구센터는 앞으로 6년간 정부에서 약 33억 원을 지원받으며 ‘생체장기모사 칩’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울산시도 매년 1억 원씩 총 6억 원을 지원하며 지역의 바이오메디컬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힘을 보탤 예정이다.

이밖에도 WFIRM에서 330만 달러(약 37억 4000만여 원), UniBasel에서 297만 달러(약 33억 6000만여 원)를 출자해 연구센터 공동 설립을 지원하게 된다.

이 연구센터의 센터장을 맡은 김철민 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배양된 세포나 동물실험에 의존하는 기존의 전임상 신약 스크리닝은 실제 인체장기가 작동하는 생리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동물실험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비용, 시간, 결과의 부정확함 등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생체모사장기 칩이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도 생체장기모사 칩과 함께 주목받는 생체장기모사 기술이다. 이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와 생체 재료 등을 이용해 실제 조직이나 장기와 유사한 복잡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한다.

저작권자 © THE K BEAUTY SCIEN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