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물·합성화합물 등 14개 분야 소재 클러스터 구축
10개 부처․청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발표

[더케이뷰티사이언스] 기능성화장품, 항체의약품 등 4개분야가 국가생명연구자원 활용가능 전략품목으로 지정되어 R&D 집중 지원을 받는다. 274개 자원은행은 천연물, 합성화합물, 미생물 등 14개 분야별 소재 클러스터로 운영된다. 또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데이터 스테이션)이 구축된다.

10개 부처․청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AI 기반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제9차 회의를 통해 지난 2일 발표했다. 10개 부처․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해수부, 중기부, 식약처, 농진청, 산림청이다.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의 주요 내용을 보면, 범부처가 협력해 데이터 기반의 바이오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부처‧사업‧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 수집‧제공하는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데이터 스테이션)’을 조성한다. 수집 대상은 15대 바이오 연구 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유전체, 이미지(영상), 생화학분석, 표현형, (전)임상 데이터 등이다. 이를위해 ‘국가생명연구자원 수집‧관리 표준지침’을 제정하고, 데이터 등록 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또 논문 등 연구성과 발표 전 비공개인 데이터의 공유를 매개하고, 연구 데이터와 소재정보를 연계 제공 등 활용성 제고한다. 고품질‧고유 국내 데이터 기반 글로벌 데이터 협의체 참여, 해외 주요 저널 연계와 같은 선진적 데이터 활용 환경도 조성한다.

수요자 맞춤형 바이오 연구 소재 개발・활용을 촉진한다. 부처별 운영하던 기존 274개 소재자원은행 가운데 실적 미흡한 은행을 구조조정해 14개 분야의 소재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14개 분야의 소재 클러스터는 △인체유래물 △줄기세포 △종자 △해양생물 △수산생물 △배양세포 △미생물 △천연물 △합성화합물 등이다. 이와함께 소재 클러스터별 맞춤형 육성 전략을 수립해 수요자 맞춤형 소재 및 서비스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신(新)소재 개발‧확보‧보급, 소재 일반‧특성 분석정보 제공, 소재 활용을 위한 특수 시설 확충, ‘바이오 연구 소재 옴부즈만’ 구성‧운영(소재 품질확인, 피분양자 고충 모니터링) 등을 추진한다. ‘해외 소재 도입 지원 서비스’ 지원 등 제2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사태를 대비한 국제환경(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환경 정비에도 나선다.

코로나-19와 같은 바이오 재난 대응을 위한 인프라 비상 운영 체계도 구축한다. 가령 바이러스 관련 비공개 연구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공개 전환하고, 표준화된 동물실험 플랫폼을 조성해 신속 연구를 지원해준다.

지속 성장 가능한 민관 협력 기반도 조성한다. 이를 위해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들을 묶어 다부처사업으로 통합 운영해 범부처 정책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한다. 이를 위해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생명연구자원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기술로드맵 중 국가생명연구자원 활용가능 분야 4개를 전략품목으로 지정(생채유래물질분석시스템, 재생의료바이오소재, 항체의약품, 기능성화장품), R&D를 집중 지원해 사업화를 촉진한다. ‘100인의 바이오 자원 정책 자문단’ 구성, ‘생명연구자원 주간’ 행사 개최, 온라인 ‘자원 신문고’ 운영 등도 마련한다. 더불어, 산‧학‧연‧병의 생명연구자원 활용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으로 기초과정에서부터 전문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과기부

 

저작권자 © THE K BEAUTY SCIEN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